BACK TO LIST
PREV NEXT
슬기로운 크라우드 펀딩 활용법



#크라우드펀딩 #mz세대 #브랜드경험 #밸루체인진화채널 #교감채널

‌December. 07, 2020

"
크라우드 펀딩을 새로운 소비 플랫폼으로 주목해 보아야 할 만한 움직임이 있다.

가전, 식품, 유통 대기업들의 펀딩 개설이 그것이다.
"

LG전자는 자사 노트북과 개성있는 브랜드들과의 콜라보를 통해 가방, 파우치, 캠핑 체어를 연속적으로 펀딩중이고, 삼성전자는 취향을 맞춤 보관해주는 비스포크 냉장고를, SK매직은 ‘무설치 식기세척기’를 진행했다.
 
전통적인 식품기업인 오뚜기는 백반디자인의 굿즈인 밥상을, 아모레퍼시픽은 정식 출시전에 ‘피토알렉신’을 선보였다. 유통회사이면서도 이마트는 스니커즈, 차박 텐트, 노이스캔슬링 헤드폰을 크라우드펀딩으로 진행했다.
 
초기 부족한 자본을 해소하고 재고 부담을 덜기위해 1인 기업이나 스타트업들이 대거 차지했던 초기 크라우드 펀딩에, 대기업과 전통 기업들의 참여가 본격화되면서 흥미로워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질세라 우리 패션 기업들의 참여도 가속화되고 있다.

www.wadiz.kr / LG gram x Helinox 

크라우드 펀딩 참여가 이어지면서 전략적인 목표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철학이 있고 공감 가는 스토리에 취향, 개성, 발견을 중시하는 MZ 세대는 이전 세대의 소비 선택에 분명히 선을 긋고 있다. 개인의 행복을 중시하면서도 윤리적인 가치를 생각하고 상품이 아닌 경험은 물론 적극적인 발견을 공유하면서 같은 세대의 소통을 이끌기도 한다. 사회적 가치에 동참함으로써 자신의 신념을 표출하는 MZ 세대에게는 크라우드 펀딩이 자신들의 명확한 소비 스타일을 표현하는 채널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MZ 세대는 1700만 명(2019년 기준)으로 인구의 34%를 차지하며  성장하고 있는 소비 주체다.

MZ 세대에 대응하려는 기업들에게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은 매우 효과적이다. 새로운 세대를 연구하고 그들에 부합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기획하는 사내벤처나 TFT들이 만들어지면서 개발된 제품의 반응을 보기 위한 테스트 베드로써 활용될 수 있다.

더불어 사전 마케팅의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처음 런칭하는 제품의 경우 우선 사용해 본 유저의 경험이 포함된 레퍼런스가 중요한데, 사전 SNS 채널에서의 커뮤니케이션과는 별도로 발견하는 재미를 가진 크라우드 펀딩은 새로운 접근의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제시해준다. 그런 이유로 진부화(old)된 제품의 리뉴얼 채널로써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이다.

또 크라우드 펀딩을 준비하면서 MZ 세대의 펀딩 준거에 맞추게 되고 사전 제품 기획에 반영이 가능해진다. 왜 이 제품이 필요한지에 대한 철학과 역사를 담게 되고 스토리를 만들어 공감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VMH가 개인의 취향을 적극 반영한 ‘Made-to-order’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위 사진) 자신들의 비즈니스를 업그레이드하거나 룰루레몬이 애자일한 밸류 체인을 구축, R&D 기능의 ‘Whitespace(수평적 논의가 가능한 열린 공간)’ 조직을 운영하는 것처럼 내부 개선의 동기를 유발하게 된다.

우리 패션 기업 중 상당 수는 새로운 세일즈 채널 확보를 목적으로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하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인지 타깃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오로지 기존 커뮤니케이션을 그대로 가져와 자극적인 언어와 할인만을 제시하는 경향이 많다.

반면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하는 목적을 잘 이해하는 기업들은 MZ 세대와 교감하는 채널이자, 자신들의 밸류 체인을 진화시키는 계기, 브랜드 경험을 높이는 채널로 활용하고 있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뉴 노멀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런 차원에서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한 것이라면, 이를 더 전략적이고 슬기롭게 활용해 볼 필요가 있다.


KakaoTalk_20230625_105958549_04.jpg
KakaoTalk_20230625_105958549_01.jpg
이처럼 로컬은 소비 중심세대인 MZ세대들에게는 원천(Origin)에 더 가까이 갈 수 있고, 낯선 경험을 즐기는 것이 여행이다라는 접근에서 로컬은 진정한 경험공간이며, 새로움을 발견해 공유하기에 너무 좋은 소재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로컬은 어느덧 관심의 중심에 있게 되면서 ‘로컬 힙(Lcal Hip)’이 부각되었다.


로컬이 힙하게 받아들여지는 시점에 우리 패션기업은 무엇을 해볼 수 있을까. 로컬이 가지는 의미부터 새로 인식해야 한다. 가끔 여행하는 곳으로 치부해선 안될 일이다. 일상의 비일상 또는 일상의 연장에서 로컬은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로컬에 대한 기업 관심은 곧 타겟의 일상에 참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로컬에서의 원료, 재료, 가공방법, 로컬장인 등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귀한 원천이 되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로컬은 고객의 연장된 일상에 참여하면서 공감을 높이고 우리 기업의 ESG를 실천하는 원천이 된다.
Children_of_the_Discordance3.jpg
Children_of_the_Discordance2.jpg
[Root from Children of the Discordance Homepage]
이미 빠르게 로컬에 참여하는 브랜드들이 늘고 있다. 히데아키 시카마의 칠드런 오브 더 디스코어던스(Children of the Discordance)는 지역 특색이 근간이 되는 브랜드이다. 요코하마에서 자란 탓에 미국풍 스트리트 패션에 일본풍 장인정신이 담긴 패치워크를 더하면서 일본 로컬을 부각했다. 빈티지 제품이 많기로 유명한 애틀랜타에서 자란 에밀리 아담스 보디(Bode)는 손으로 수놓은 듯한 정밀한 자수와 본인 스스로가 염색한 듯 독특한 색이 가득하고, 이스라엘에서 자란 헤드 메이너(Hed Mayner)는 유대인의 옷차림에서 영감을 얻어 양감이 풍부한 옷들을 레이어드로 겹쳐 입도록 했다. 한참 부각되었던 놈코어(Normcore) 시대는 이제 지역적인 것이 가장 핵심이 되는 ‘로컬코어(Localcore)’시대로 접어든 것 같다.
epigram.jpg
epigram1.jpg
[Root From 'epigram' Homepage]
우리 브랜드 중에 로컬에 가장 진심인 브랜드라면 코오롱 에피그램을 뽑을 수 있다. 2017년 시작해 경주, 하동 등에서 시작해 올해 S/S시즌에 울진까지 11군데 로컬을 소개하고 결합하며 로컬리티(Locality)를 만들어 가고 있다. 변화의 방향을 간파하고 로컬에 빠르게 참여했으며, 패션기업임에도 패션에 머물지 않고 지역의 먹거리 등에 디자인 참여를 하면서 사회적 책임은 물론 좀 더 폭넓은 일상에 참여하고 있다.

KakaoTalk_20230625_105958549_17.jpg
KakaoTalk_20230625_105958549_12.jpg
KakaoTalk_20230625_105958549_18.jpg
앞에서 밝힌 로컬의 중요성으로 로컬에 참여하려는 브랜드는 늘어날 것이다. 로컬 참여는 생명력을 갖고 있는 브랜드에게는 생동감 넘치는 시도가 될 것이고, 중심 세대 일상에 참여하면서 일상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어떤 로컬에 참여할지, 우리 브랜드의 활력을 높이기 위해 로컬에서 어떤 원천과 장인과 결합해야 할지, 로컬과 호흡하기 위해 플래그십스토어 운영이나 우리 직원들의 로컬 워케이션, 로컬 스토리가 브랜드 캠페인의 중심소재가 되는 식으로 어떻게든 로컬에 우리 브랜드는 연결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로컬과의 깊은 연결이 브랜드 활력에 큰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 로컬에 스며들 때이다'
KakaoTalk_20230625_105958549_06.jpg
KakaoTalk_20230625_105958549_05.jpg
"일상이 추앙받는 시점이다."